주식 기본 용어 PER, PBR, ROE 뜻 확인하기
주식의 가치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무엇이 있을까?
바로 오늘 설명할 PER, PBR, ROE를 꼽을 수 있겠다.
주식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들이 저평가된 종목과 고평가된 종목을 그나마 구분 지을 수 있는 지표기 때문이다.
위는 우리가 익히 잘 알고있는 삼성전자의 투자정보이다.
내용 중 PER, EPS, PBR, BPS가 보이는데, 도대체 무슨 뜻일까? 같이 알아보도록 하겠다.
PER, 주가수익비율
PER(Price Earning Ratio : 주가수익비율)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것이다.
쉽게 말해서 기업이 1주당 얼마나 버는지의 비율을 뜻한다.
[PER의 공식 : 현재주가 ÷ ※주가순이익(EPS)]
※주가순이익(EPS) : 기업이 일정 기간 안에서 얻은 전체 수익에서 모든 비용을 빼고 남은 순수한 수익을 뜻한다.
코스피의 평균 PER은 10정도로, 이보다 낮다면 시장 평균보다 낮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저평가 되었다. 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당연히 업종마다의 업종 PER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동종업계와의 PER을 비교해보는 것이 좋겠다.
PER이 높다는 것은 당연히 주식이 고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으나,
그만큼의 시장의 기대감을 받는다는 것으로 고 평가되었다고 해서 나쁜 뜻으로 생각할 수는 없다.
하지만 PER은 낮을수록 좋다는 것이 기본이다.
PBR, 주가순자산비율
PBR(Price Book 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은 현재 주가를 주당순자산으로 나눈 것이다.
쉽게 말해 현재 주가가 순자산 대비 몇 배로 거래가 되는지를 뜻한다.
[PBR의 공식 : 현재 주가 ÷ ※주당순자산(BPS)]
※주당순자산(BPS) : 회사 청산 시에 주주가 배당받을 수 있는 자산의 가치를 뜻한다.
PBR이 보통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겠다.
순자산이 커질수록 PBR은 낮아지므로 PBR은 수치가 낮을수록 좋다는 것이 기본이다.
순자산이 크다는 것은 그만큼 튼튼하고 안정적인 기업이다는 것과 같으니까 말이다.
하지만 PBR이 낮으니까 무조건으로 좋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매 시장 상황에 따라서 다르게 평가될 수도 있고,엔터나 게임 등의 인적자원이 기업의 가치인 회사들은 PBR로 회사의 가치를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기업의 정확한 현재의 가치를 파악하기는 힘들다는 점도 있다.
이 공식들은 모두 전 분기 실적에서 나온 값이기 때문이다.
ROE, 자기자본이익률
ROE(Return On Equity : 자기자본이익률)은 회사가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이익이 났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회사의 수익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로 볼 수 있겠다.
[ROE의 공식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X 100]
ROE가 간단하게 말해서 투자 대비 수익률을 뜻하기 때문에, ROE가 높다는 것은 당기순이익을 많이 내어서 효율적인 영업활동을 했다는 의미이다. 그래서 ROE가 높은 것이 좋은 것으로 해석하면 되겠다. ROE는 연평균 15% 이상인 종목이 투자가치가 있다고 본다.
-
기업의 정확한 가치를 물론 위와 같은 지표들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런 지표들로 인해서 미래의 가치를 읽을 수 있는 능력을 키워줄 수는 있겠다.
같이 보시면 좋아요.
전환사채(CB)의 뜻, 전환사채권발행 악재? 호재? 알아보기
전환사채(CB)의 뜻, 전환사채권발행 악재? 호재? 알아보기 주식을 하면서 전환사채를 발행 결정했다는 뉴스 기사 많이 접해봤을 것이다. 위와 같이 카카오게임즈는 5,0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
dolmengi.tistory.com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점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점 대한민국에는 증권 시장이 2개로 나뉜다. KOSPI와 KOSDAQ 흔히들 코스피, 코스닥이라고 부른다. 코스피(KOSPI :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한국종합주가지수)는 원래 명칭은
dolmengi.tistory.com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뜻, 공매도 재개, 공매도 장/단점, 공매도 게임스탑 GameStop 사건 정리 (0) | 2021.05.24 |
---|---|
네 마녀의 날 뜻,유래, 옵션과 선물의 만기가 겹치는 날 (0) | 2021.05.21 |
전환사채(CB)의 뜻, 전환사채권발행 악재? 호재? 알아보기 (0) | 2021.05.14 |
코스피, 코스닥의 차이점 (0) | 2021.05.13 |
ETF 뜻, ETF 장점/단점, 인버스? 곱버스? 주식 레버리지? 알아보기 (0) | 2021.05.13 |
댓글